더에이트쇼 결말 해석 (층수별 숨겨진 해석 알고 있는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2024년에 개봉한 더에이트쇼(The 8 Show)는 원작 “머니게임”, “파이게임”을 바탕으로 제작된 대한민국 시리즈물입니다. 8층으로 만들어진 장소에서 모르는 사람과 같이 게임을 하는 이 게임은 우리가 모르는 숨겨진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더에이트쇼 결말 해석 (층수별 숨겨진 해석 알고 있는가?)

더에이트쇼 포스터
출처 : 넷플릭스

There are spoilers for the movie.
(영화에 대한 약간의 스포가 있습니다.)

더에이트쇼(The 8 Show) 정보

더에이트쇼 해석
출처 : 넷플릭스

넷플릭스
더에이트쇼 공식 예고편 – 넷플릭스

정보

2024년 5월 17일에 개봉 된 한국 시리즈물 “더에이쇼”는 원작 웹툰 “머니게임” 과 “파이게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넷플릭스(Netflix) 대한민국 드라마입니다.

공식으로 발표된 장르는 “색다른“입니다. 드라마, 영화 장르에서 흔히 보던 장르가 아니여서 개인적으로 당황했습니다. 그렇기에 더욱 더 기대되었던 작품이였습니다.

더에이트쇼(The 8 Show)

더에이트쇼 정보
개봉일 : 2024. 05. 17.
국가 : 대한민국
장르 : 색다른
부작 : 8부작

감독

더에이트쇼 감독
한재림
1975. 07. 14.
감독, 각본가
제주특별자치도

한재림 감독은 제주도에서 태어나 2005년 연애의 목적으로 데뷔하였습니다.
데뷔작으로 무려 대종사영화제에서 신인감독상과 청룡영화상 각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충무로에 혜성처럼 등장한 한재림 감독은 이어 우아한 세계, 더킹, 비상선언 등
대한민국을 흔드는 영화를 많이 만들어 대한민국에서 손 꼽히는 감독이 되었습니다.

연출적 특징

한재림 감독은 작품마다 숨겨진 풍자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영화 더킹 과 우아한 세계는 풍자가 많이 돋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블랙코미디와 새드엔딩, 해피엔딩을 섞어 쓰는 편이라 뻔하지 않은 결말을 도출하는 감독 중 한명입니다.

줄거리

생활에 문제와 많은 고통이 있던 참가자 8명이
미스테리한 문자와 함께 돈이 입금이 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당신이 버릴려고 했던 시간을 돈으로 삽니다”

자살까지 시도하려고 했던 사람도 있었는데,
애초에 거부하기 힘든 제안이여서 모두가 참여를 하게 됩니다.

그런 사람들을 비밀스런 장소에 모아 게임을 벌이는 드라마입니다.

더에이트쇼 결말 해석

모든 해석은 개인적인 견해가 들어갔습니다.
제작진과 드라마 “더에이트쇼”의 정보를 통해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피보나치열 방식의 상금액

8층이라는 정확한 층수를 나눠 똑같은 8명의 사람에게 주어진 건
“입니다.

게임 장소에만 있어도 1분마다 돈을 쌓입니다.
물론 게임이 끝나면 본인이 쌓인 만큼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재밌는건 층수마다 “돈”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층수별돈 (1분당)
1층10,000원
2층20,000원
3층30,000원
4층50,000원
5층80,000원
6층130,000원
7층210,000원
8층340,000원
더에이트쇼 층수별 상금액

바로 피보나치열 방식으로 나열된 금액입니다.
피보나치열이란 황금 비율이라고 일컫는 공식을 이용합니다.

첫 번째 항 과 두 번째 항이 1이면, 세 번째 항은 바로 앞의 항을 더한 값이
바로 피보나치열입니다.

예를 들면 8층은 전 층 6층과7층을 더한 값
즉 130,000원 + 210,000원 = 340,000원이 됩니다.

더에이트쇼 1층 해석 – 배성우

더에이트쇼 1층 해석 - 배성우

모든 층 중에서 최저층입니다.
게임에서도 가장 하층민에 속하며, 상금도 가장 적습니다.

심지어 1층의 사람(배성우)는 다리도 불편하고, 자신의 1층(방)은 반지하처럼 어둡고 좁은 곳에서 나날을 보내야 합니다.

이는 세상에 살아감에 있어 빈곤하고 생계가 어려운 사람을 뜻합니다.

또한 게임을 이끌 힘(돈)도 없고 더러운걸 자신이 도맡아하는 평화적인 성향을 띄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도 점차 변화한다는걸 보여줍니다.

  • 초반-자신이 도맡아 함
  • 중반-자신조차 피함
  • 후반-최고층을 꿈꾸고 있으며 역변을 일으키려 함.

이것은 곧 신분이 낮은 사람은
높은 곳을 싫어하는게 아닌 추구하고 있다는걸 의미합니다.

더에이트쇼 2층 해석 – 이주영

더에이트쇼 2층 해석 - 이주영

최저층은 아니지만 하층민에 속합니다.

조선시대로 비유하자면 노비는 아니지만 평민 중의 평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층민 중에서 1층과 다른 점은 전투적이고 자유로운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신분이 낮아도 자신에 대한 삶에 대한 꿋꿋함과 단단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곧 세상에는 자신의 신분과 힘이 낮아도 사는데에 있어 문제가 없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또한 중반에서는 상류층의 말을 안 듣고 자신의 행동을 펼칩니다.
결국 힘(돈) 앞에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며, 세상의 순리를 인정하게 됩니다.

세상의 순리는 나 혼자 바꾸지 못한다라는 숨겨진 뜻을 잘 표현한 층이 됩니다.

더에이트쇼 3층 해석 – 류준열

더에이트쇼 3층 해석 - 류준열

3층은 중하층민의 삶을 보여줍니다.

속으로는 자신의 의견을 거칠게 표현하지만,
겉으로는 강자의 말에 순응하고 따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한 자신이 힘이 없다는 걸 인정하고 자신의 의견보다는 남의 의견을 더 존중합니다.
세상의 순리를 받아드리고, 약한 자신을 탓하며 살아갑니다.

5층이 될 수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층에 대한 삶을 만족하며 살아가고
노동에 대한 대가를 순수하게 바랍니다.
모든 층 중에서 가장 인간적인 성향을 띄고 있죠?

약자를 항상 도와주려고 하지만 선의의 행동이 아닌 강자의 눈치를 보며 행동합니다.
그리고 3층의 삶과 태도를 극 내에서도 가장 많이 보여줌으로써,
세상엔 3층과 같은 사람이 대다수이고, 대한민국의 현실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회사원이 되겠습니다.

곧 이러한 표현은 사회엔 3층같은 사람이 대다수이고, 이런 사람들은 대게 눈치를 많이 본다라는 영화적 풍자가 됩니다.

더에이트쇼 4층 해석 – 이열음

더에이트쇼 4층 해석 - 이열음

4층은 중층입니다.

모든 층에서 가운데의 위치한 사람입니다.

세상에 살아감에 있어 중층에 위치한 사람의 삶을 보여줍니다.
때론 강자한테, 때론 약자한테 붙으며 자신은 어디에도 속해 있지 않다라는 걸 보여줍니다.

하지만 태도는 하층민과 전혀 다릅니다.
약자를 싫어하며, 기만하고 강자를 존중하며 환호합니다.

이는 곧, 중층의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을 추구한다라는 표현과 같이
세상엔 이렇게 강자 앞에 무릎 꿇고 살아가는 사람이 있다
라는 걸 표현합니다.

더에이트쇼 5층 해석 – 문정희

더에이트쇼 5층 해석 - 문정희

5층은 나름 중상층입니다.

극 내에서는 선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성향을 보입니다.
다른 사람의 말을 수용하며 자신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자신의 의견을 천천히 말 할 줄압니다.

삶에 있어 선한 사람은 악한사람보다 비교적 적다고 공자가 말했습니다.
선한 사람은 힘에 있어서 조절할 줄 알며, 자신의 처지에 맞는 행동을 잘 한다는걸 보여줍니다.

다소 극에서는 답답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선하기 때문에 그러한 태도가 수용이 됩니다.

선한 사람의 행동이 불쾌하다고 느껴졌던 사람은
자신이 선에 가깝지 않는 사람이란걸 영화적 풍자를 통해 표현했습니다.

더에이트쇼 6층 해석 – 박해준

더에이트쇼 6층 해석 - 박해준

6층은 상류층입니다.

극내에서는 자신의 무력과 행동을 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6층부터는 강자로 표현되는데 그에 맞는 힘은 어마무시하다는걸 보여줍니다.

6층(상류층) 아래층부터는 6층의 말을 무서워하며 조아리며 살아갑니다.
6층은 이것을 인정하며 아랫사람들을 무력으로 다룹니다.
하지만 중후반부터는 아랫층들의 비난과 역변을 당하게 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삶에 있어 무력으로 행하는 사람은 그에 맞는 결과가 초래한다는것입니다.
자신이 거칠게 다뤘던 만큼 자신이 다치고 처참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영화적 표현으로는 자신의 모든 행동은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더에이트쇼 7층 해석 – 박정민

더에이트쇼 7층 해석 - 박정민

7층은 최상류층입니다.

극 내에서는 높은 지능과 리더쉽으로 사람들을 이끌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컨트롤 할 수 있고, 높은 자신의 힘을 낭비하지 않는 태도를 보입니다.

이러한 표현은 삶에 있어 높은 층에 있는 사람은 대게 똑똑하고 다른 사람을 다룰 수 있는 힘있는 사람을 일컫습니다.

지식적으로 풍부하고 높은 지능을 활용해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세상에 보통 사람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라는 걸 의미합니다.

더에이트쇼 8층 해석 – 천우희

더에이트쇼 8층 해석 - 천우희

8층은 최고층입니다.

모든 층 중에서 가장 높은 층이며, 방 또한 1층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펜트 하우스입니다.
또한 지급되는 상금도 가장 높은 1분당 340,000원입니다.

극 내에서는 보통 사람과 다른 미치광이 기질을 보여줍니다.
다른 사람의 공감을 이끌어 내기보단 자신의 뜻, 말, 행동, 감정이 모든 법을 만듭니다.
그리고 자신이 재밌어 하는 것이 곧 게임이 되죠.

이러한 표현은 세상엔 높은 사람의 말이 곧 법이 될 수 있다라는 걸 보여줍니다.
한번은 화장실 당첨이 됐는데, 말 한마디에 사과를 받았죠?
이렇듯 하층민들이 아무리 힘을 합쳐도 최고층 한마디면 무너지듯이
가진 힘을 이용해 세상의 순리를 바꿀 수 있다라는 것도 뜻합니다.

그리고 영화적 표현으로는
8층의 인간적인 표현을 미치광이로 했습니다. 다른 사람이 느끼는 그런 감정과 행동이 아닌 조금 특이하고 특별한 행동과 말을 주로 하고 모든 걸 즐기려고 합니다.

이는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 라는 뜻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밑의 층들이 아무리 노력하고 발버둥치려고 해도 즐기는 자(8층)을 이기지 못하듯이
세상에 있어 즐기려고 하는 태도도 중요하다는걸 보여줍니다.

더에이트쇼 결말

웹툰 “머니게임”, “파이게임”과 같이 마지막에 cctv를 부심으로써 게임 공간을 탈출합니다.
그렇게 탈출한 사람들은 각자의 삶으로 돌아 가죠.
하지만 더에이트쇼 드라마에서는 층마다 다른 사회적 풍자를 정확히 표현하여
영화적으로 재밌는 작품이였습니다.

층마다 다른 사회적 풍자

더에이트쇼는 층마다 다른 사회적 풍자를 이용해 각자 다른 성향의 사람을 표현했습니다.
층마다의 확실한 성격으로 재미를 주고,
각 층과의 대립을 표현하며 사회적으로 문제점과 사람의 성향을 보여줍니다.

방은 절대 바꿀 수 없다.

게임 후반부에 방 바꾸기 방법이 공개되죠.
방 바꾸는 방법은 단 돈 10억.

1층이 방을 바꾸려고 겨우 10억을 모아 그 방법을 샀지만
그것은 진짜 방법뿐이였다.

바꾸는게 아닌 방법이 적힌 종이가 10억
8층을 사는데엔 3200억.
절대 불가능한 돈이다.

결국 방은 바꿀 수 없다라는 건
삶에 있어 자신의 위치를 돈으로 바꿀 수 없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고 하면 좋은 글

Leave a Comment